유영웅 관세사

2014년 관세사2차 관세율표 및 상품학, 품목분류, HS, 기출문제, 문제풀이, 해설 본문

관세사 관련

2014년 관세사2차 관세율표 및 상품학, 품목분류, HS, 기출문제, 문제풀이, 해설

디뱐 2020. 4. 30. 09:00
728x90

 

2014년도 관세사 2차 2교시 관세율표 및 상품학 기출문제와 문제풀이 해설입니다.

 

해당 답안 구성에 필수 요소인 규정과 관련 해설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답안지를 작성하는 방법이나 답안지를 이렇게 써야된다는 것이 아니므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 관세율표상 반도체 및 이와 유사한 물품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중심으로 논하시오. (50 점)

 

(1) 관세율표 제28류의 주 제 8 호에서 언급하고 있는 “전자공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도프 처리한 (doped) 화학원소(예: 규소와 셀렌)”의 모양에 따른 분류규정

 

[28류 주8]

8. 전자공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도프처리한(doped) 화학원소(예: 규소와 셀렌)로서 인상가공하지 않은 모양·실린더 모양·막대(rod) 모양은 이 류로 분류한다. 다만, 디스크·웨이퍼나 이와 유사한 모양으로 절단한 것은 제3818호로 분류한다.

 

 

(2) 관세율표 제85류의 주 제9호 가목에서 규정한 “다이오드 ∙ 트랜지스터와 이와 유사한 반도체디바이스”의 정의

셀 전체 선택

 

[85류 주9]

9. 제8541호와 제8542호에서

가. "다이오드·트랜지스터와 이와 유사한 반도체 디바이스"란 전계(電界)의 작용에 따른 저항의 변화로 작용을 하는 반도체디바이스를 말한다.

[8541호 해설서]

 

(A) 다이오드(diodes)·트랜지스터(transistors)와 이와 유사한 반도체 디바이스(semiconductor devices)

 

이들은 이 류의 주 제9호가목에 정의되어 있다.

 

이 그룹의 소자의 작용은 어떤 "반도체(semiconductor)" 재료의 전자적 특성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러한 재료의 주된 특징은 실내 온도에서의 그 저항율이 금속도체의 저항율과 절연체 저항율 간의 범위 내에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재료는 예를 들면, 어떤 종류의 광석[예: 결정방연광(結晶方鉛鑛 : crystal galena)] 4가의 원소(게르마늄·실리콘 등)나 원소의 화합물(예: 비화갈륨·안티몬화 인듐 등의 3가원소와 5가원소의 화합물)로 되어 있다.

 

4가원소로 구성되는 반도체 재료는 일반적으로 단결정체이며, 이러한 것은 순수한 상태로 사용하지 않고 특정의 "불순물(impurity)"(dopant)로 매우 연한 도프 처리(함유량은 100만분의 얼마 정도의 비율)를 한 후에 사용한다.

 

4가원소에 대하여 가해지는 "불순물"은 5가원소(인·비소·안티몬 등)이나 3가원소(붕소·알루미늄·갈륨·인듐 등)일 수도 있다. 전자는 과잉전자[부(負)의 전하]를 가진 n형 반도체를 형성하고; 후자는 전자(electron)가 부족한 상태[정(正)의 전하를 갖는 정공(正孔)]에 있는 p형 반도체를 형성한다.

3가원소와 5가의 원소가 결합되어 있는 반도체 재료도 도우프 처리가 행해진다.

광석으로 구성되는 반도체 재료에 있어서는 그 광석 중에 자연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이 불순물(dopant)로 작용한다.

 

이 그룹에 해당되는 반도체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p형과 n형의 반도체 재료의 한 개 이상의 "접합(junctions)"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Ⅰ) 다이오드(diodes) :

 

이것은 단일의 p·n접합을 가진 것으로 두 개의 터미널을 가진 터미널디바이스(terminal devices)이다. 이들은 한쪽 방향(전진방향)으로 전류를 보내나, 다른 방향(역방향)에는 고저항을 발생한다. 이들은 검파용·정류용·개폐용 등에 사용한다.

다이오드의 주된 형으로는 신호용 다이오드(signal diodes)·전력의 정류용 다이오드(power rectifier diodes)·전압조절용 다이오드(voltage regulator diodes)·전압보상용 다이오드(voltage reference diodes)를 들 수 있다.

 

(Ⅱ) 트랜지스터(transistors) :

 

전류를 증폭·발진·주파수 변환·스윗칭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3단자 소자와 4단자 소자이다. 트랜지스터(transistor)는 제3의 단자에 전계(電界 : electric fields)를 가하여 다른 두 개의 단자간의 저항을 변화시켜 이에 의하여 작동한다. 부가된 제어신호나 자계(磁界)는 저항의 변화에 의하여 생기는 작동보다 약하므로 증폭 작용이 일어난다.

 

트랜지스터(transistors)에는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1) 쌍극성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s) :

 

두 개의 다이오드(diode)형의 접합으로 구성하는 3단자 소자로서, 트랜지스터의 작용은 정과 부 양전하의 캐리어(carrier)에 의한다[그러므로 쌍극성(bipolar)이라 한다].

 

(2) 전계(電界)효과 트랜지스터[또한 금속산화물반도체(MOS)로 알려져 있다] :

 

이것은 접합을 갖거나 갖지 않을 경우도 있으나 어느 것이든 두 개의 단자간에 전하 운반자(carrier)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켜 작용시킨다. 전계(電界)효과 트랜지스터에서는 한 종류의 전하 운반자(carrier)만으로 트랜지스터 작용을 행한다(그러므로 단극성이라 한다). 기생 다이오드는 MOS 타입 트랜지스터(또한 MOSFET로도 알려져 있다) 내에서 만들어지는데, 유도 부하 스위칭(inductive load switching)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프리휠링 다이오드(freewheeling diode)로서 작동하게 된다. 네 개의 단자를 가진 MOSFET는 사극관(四極管 : tetrodes)이라 알려져 있다.

 

(3)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한 개의 게이트 단자와 두 개의 부하 단자[에미터(emitter)와 컬렉터(collector)]로 구성된 3-단자 디바이스이다. 게이트와 에미터 단자에 적정한 전압을 부여함으로써, 한쪽 방향의 전류를 통제(즉, 접속과 차단)을 할 수 있다. IGBT 칩은 단일의 패키지(패키지형 IGBT 디바이스) 내에 다이오드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IGBT 디바이스를 보호하는 동시에 계속하여 트랜지스터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준다.

 

 

(Ⅲ) 유사한 반도체 디바이스(semiconductor devices) :

 

여기서 말하는 "유사한(similar)" 반도체 디바이스란 전계의 작용에 따른 저항의 변화로 작용을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말한다.

 

여기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사이리스터(thyristors) :

 

세 개 이상의 p·n접합을 갖는 반도체 물질 속에 네 개의 전도영역을 이루고 있으며 제어펄스가 전도를 개시하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직류가 흐른다. 이들은 제어정류기·스위치·증폭기로 사용하며, 공통 콜렉터/베이스접합을 갖는 두 개의 연동하는 상호 보완형 트랜지스터(transistors)로 기능하는 것이다.

 

(2) 트라이액(triacs)[2방향의 삼극관 사이리스터(thyristors)] :

 

네 개의 p·n접합을 갖는 반도체의 물질 속에 다섯 개의 전도 영역을 이루고 있으며 제어 펄스가 전도를 개시하면 교류가 흐르는 것이다.

 

(3) 다이액(diacs) :

 

반도체 재료(두 개의 p·n접합)속에서 세 개의 전도권으로 형성되며, 트라이액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4) 버랙터(varactors)(또는 가변용량 다이오드)

 

(5) 전계(電界)효과형소자(field effect devices) :

 

그리디스터(gridistors)와 같은 것

 

(6) 건 효과형 소자(gunn effect devices)

 

다만, 이 그룹에는 위에 열거한 것과는 달리 그 작동이 주로 온도·압력 등의 사용에 따라 행해지는 비선형반도체 저항기[서미스터(thermistors)·바리스터(varistors)·자기저항기 등]와 같은 반도체소자는 제외한다(제8533호).

 

광선에 의하여 작용하는 감광성소자[포토다이오드(photodiode) 등]에 대하여는 (B)그룹을 참조할 것.

앞에서 설명한 디바이스는 단자나 도선(導線)을 장착하여 밀봉시킨 것(components)이라든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elements), 조각으로 잘려 있지 않은 디스크상(wafers)인지에 상관없이 이 호에 분류한다. 다만, 천연의 반도체 재료[예: 방연광(方鉛鑛 : galena)]는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하여 이 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서는 제28류의 원소(예: 규소·셀렌)를 전자공업용으로 도프 처리한 것, 디스크모양·웨이퍼(wafers) 모양이나 그 밖의 이와 유사한 모양의 것[연마한 것인지에 상관없고 균일한 에피택시얼층(epitaxial layer)으로 도포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불연속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도프 처리나 확산처리를 하지 않은 것에 한정한다)을 제외한다.

 

 

 

(3) 관세율표 제 8533 호부터 제 8542 호까지의 분류체계(호의 용어를 근거로 함)

 

8533

전기저항기[가감저항기(rheostat)와 전위차계(potentiometer)를 포함하며, 전열용 저항체는 제외한다]

8534

인쇄회로

8535

전기회로의 개폐용·보호용·접속용 기기[예: 개폐기·퓨즈·피뢰기·전압제한기·서지(surge)억제기·플러그와 그 밖의 커넥터·접속함](전압이 1,000볼트를 초과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8536

전기회로의 개폐용·보호용·접속용 기기[예: 개폐기·계전기·퓨즈·서지(surge)억제기·플러그·소켓·램프홀더와 그 밖의 커넥터·접속함](전압이 1,000볼트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와 광섬유용·광섬유 다발용·케이블용 커넥터

8537

전기제어용이나 배전용 보드·패널·콘솔·책상·캐비닛과 그 밖의 기반(基盤)(제8535호나 제8536호의 기기를 두 가지 이상 장착한 것으로 한정하고 제90류의 기기와 수치제어기기와 결합한 것을 포함하며, 제8517호의 교환기기는 제외한다)

8538

부분품(제8535호·제8536호·제8537호의 기기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8539

필라멘트램프나 방전램프[실드빔 램프유닛(sealed beam lamp unit)과 자외선램프나 적외선램프를 포함한다], 아크램프, 발광다이오드(엘이디)램프

8540

열전자관·냉음극관·광전관[예: 진공관·증기나 가스를 봉입한 관·수은아크정류관·음극선관·텔레비전용 촬상관(camera tube)]

8541

다이오드·트랜지스터와 이와 유사한 반도체 디바이스,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광전지는 모듈에 조립되었거나 패널로 구성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엘이디), 장착된 압전기 결정소자

8542

전자집적회로

 

 

 

(4) 관세율표 제 8541 호에 분류되는 다음 물품에 대한 설명(관세율표 해설서를 근거로 함)

  (가)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와 분류되는 주요 형태

  (나) 발광다이오드(LED)

  (다) 장착된 압전기 결정소자

 

(B)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photo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이 그룹에는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의 작용이 내부 광전효과에 의해 저항을 변경하거나 기전력(起電力)을 발생하는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광전관(photoemissive tubes)[또는 광전셀(photoemissive cells)]은 그 작용이 외부 광전효과(photoemission)에 기초를 두므로 제8540호에 속한다.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의 주요 형태는 다음과 같다.

 

(1) 광저항체(light dependent resistors) :

 

보통 두 전극 사이에 반도체 재료(황화카드뮴·황화납 등)가 들어 있는 것으로, 반도체 재료의 전기저항은 셀에 들어오는 빛의 강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화염검출기·자동카메라용 노출계·이동 물체의 계수용 노출계·자동정밀측정 장치용 노출계·자동문 개폐장치 등에 사용한다.

 

(2) 광전지(photovoltaic cells) :

 

이는 외부 전원을 요하지 않고 빛을 직접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셀레늄(selenium)을 기본재료로 한 광전지는 주로 조도계와 노출계에 사용하며, 실리콘을 기본재료로 한 광전지는 고도의 출력을 가져 특히 제어나 조절장치에 사용하며, 광섬유 등을 사용하는 통신장치에 있어서는 빛의 임펄스(impulses)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광전지의 특수한 종류는 다음과 같다.

 

(ⅰ) 태양전지(solar cells) :

 

이는 태양광선을 직접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실리콘 광전지이다. 이들은 보통 집합하여 로켓과 우주탐사용 위성이나 산악구조용 송신기 등의 전원으로 사용한다.

이 호는 또한 모듈(modules)로 조립되었거나 패널(panels)로 제작되었는지에 상관없이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호에는 동력을 전동기·전해조에 직접 공급하는 것과 같은 소자[예를 들면,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오드(diodes)와 같이 단순한 것일지라도]를 부착한 패널(panels)이나 모듈(modules)을 제외한다(제8501호).

 

(ⅱ) 포토다이오드(photodiodes)(게르마늄·실리콘 등) :

 

본 물품의 특징은 광선이 pn접합(junction)을 두들길 때 저항이 변경되는 것이다. 이들은 자동자료처리공정(저장자료를 읽는 것)에 있어서 특정의 전자 관속에 광전관(photocathodes)으로 사용하거나, 방사고온계 등에 사용한다.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s)와 포토사이리스터(photothyristors)는 광전수신기의 부류에 속한다.

 

이 범주에 해당하는 디바이스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들의 하우징(housing)이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포장되어 있어, 앞에서 설명한 (A) 부분의 다이오드(diodes)·트랜지스터(transistors)·사이리스터(thyristors)와 구별한다.

 

(ⅲ) 포토커플(photocouples)과 포토릴레이(photorelays) :

 

이는 포토다이오드(photodiodes)·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s)·포토사이리스터(photothyristors)를 결합한 전계발광 다이오드(electroluminescent diodes)로 구성되는 것이다.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는 장착[예: 터미널(terminals)이나 도선(導線 : leads)을 가지고 있다]하였거나 패키지(packaged)하거나 장착하지 않고 제시하였는지에 상관없이 이 호에 분류한다.

 

 

(C)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s)(LED)

 

발광다이오드(LED)나 전계발광다이오드(electroluminescent diodes)(특히 비화갈륨이나 인화갈륨을 기본재료로 한 것)는 전기에너지를 가시광선·적외선·자외선으로 변환시키는 디바이스이다. 이들은 제어장치(control system)속에서 자료를 표시하거나 전달해 주는데 사용한다.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s)는 가(可)간섭성(coherent)의 광선을 발하며, 예를 들면, 핵입자 검출용·고도측정장치용이나 원격측정장치용·광섬유를 사용하는 통신장치에 사용한다.

 

(D) 장착된 압전기 결정소자(mounted piezo-electric crystals)

 

이러한 것은 주로 티탄산바륨(티탄산바륨의 다결정을 분극한 요소를 포함한다), 제3824호의 지르코산 티탄산납(lead titante zirconate)이나 그 밖의 결정(그 호의 해설 참조), 수정이나 전기석의 결정이며, 마이크로폰(microphones)·확성기·초음파 기기·안정된 주파수의 발진회로 등에 사용한다. 이러한 것은 장착된 경우에만 이 호에 분류하며 일반적으로 판·봉·원판·환 등의 형태이며, 최소한 전극이나 전기접속자를 부착하고 있어야 한다.

 

이들은 흑연·바니시(varnish) 등이 도포되었거나 지지물 위에 배열되어 있고 흔히 용기내부(예: 금속상자·유리전구)에 있다. 그러나 그 밖의 구성요소를 부가시킴으로 말미암아 완전한 물품(결정소자를 가한 것)이 이미 단순한 결정소자로 간주하지 않고 기기의 특수 부분품으로서 인정되는 것이라면 이 조립품은 해당 기기의 부분품으로서 분류한다.

 

예를들면, 마이크로폰(microphones)이나 확성기용 압전기전지(제8518호)·사운드헤드(sound-heads)(제8522호)나 초음파 두께 측정기·초음파검사기용의 픽업 엘리먼트(feelers)(일반적으로 제90류의 주 제2호나목에 따라 분류하거나 경우에 따라 제9033호에 분류)·전자시계용 쿼츠 발진기(quartz oscillators)(제9114호).

 

이 호에는 또한 장착되지 않은 압전기결정소자를 제외한다(일반적으로 제3824호·제7103호·제7104호).

 

 

(5) 반도체 제조용(또는 검사용) 기계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에 대한 설명

  (가) 관세율표 제84류의 주 제9호 다목에서 규정한 제8486호에 분류되는 기계

  (나) 웨이퍼(Wafer) 연마기와 웨이퍼 표면검사기가 결합된 기계에 대하여 관세율표 제 16부의 주 제3호와 관세율표의 해석에 관한 통칙 제3호에 근거하여 품목분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84류 주9.

다. 제8486호에는 다음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기계를 분류한다.

(1) 마스크와 레티클(reticle)의 제조·수리

(2) 반도체디바이스나 전자집적회로의 조립

(3) 보울(boule), 웨이퍼(wafer), 반도체디바이스, 전자집적회로와 평판디스플레이의 권양(捲揚), 취급, 적하(積荷)나 양하(蘘荷)

라. 제16부의 주 제1호와 제84류의 주 제1호의 규정에 따라 적용될 호가 정하여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8486호의 표현을 만족하는 기계는 이 표의 다른 호로 분류하지 않으며, 제8486호로 분류한다.

 

16부 주3.

두 가지 이상의 기계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완전한 기계를 구성하는 복합기계와 그 밖의 두 가지 이상의 보조기능이나 선택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기계는 문맥상 달리 해석되지 않는 한 이들 요소로 구성된 단일의 기계로 분류하거나 주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로 분류한다.

통칙 제3호

이 통칙 제2호나목이나 그 밖의 다른 이유로 동일한 물품이 둘 이상의 호로 분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의 품목분류는 다음 각 목에서 규정하는 바에 따른다.

 

가. 가장 구체적으로 표현된 호가 일반적으로 표현된 호에 우선한다. 다만, 둘 이상의 호가 혼합물이나 복합물에 포함된 재료나 물질의 일부에 대해서만 각각 규정하거나 소매용으로 하기 위하여 세트로 된 물품의 일부에 대해서만 각각 규정하는 경우에는 그 중 하나의 호가 다른 호보다 그 물품에 대하여 더 완전하거나 상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할지라도 각각의 호를 그 물품에 대하여 동일하게 구체적으로 표현된 호로 본다.

 

나. 혼합물,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복합물과 소매용으로 하기 위하여 세트로 된 물품으로서 가목에 따라 분류할 수 없는 것은 가능한 한 이들 물품에 본질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재료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물품으로 보아 분류한다.

 

다. 가목이나 나목에 따라 분류할 수 없는 물품은 동일하게 분류가 가능한 호 중에서 그 순서상 가장 마지막 호로 분류한다.

 

 

 

 

2. 관세율표 및 동 해설서에서 과실의 가공과 관련된 다음 내용을 설명하시오. (10 점)

 

(1) 관세율표 전체에 해당되는 “건조한 것”의 범위 및 근거

 

제1부 주2.

이 표에서 "건조한 것"에는 문맥상 달리 해석되지 않는 한 탈수하거나 증발시키거나 동결건조한 것이 포함된다.

 

 

(2) 제8류의 주 제3호의 건조한 과실(견과류 포함)에 관한 규정

 

제8류 주3.

이 류의 건조한 과실이나 건조한 견과류는 부분적으로 재가수(再加水)하거나 다음 각 목의 목적을 위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건조한 과실이나 건조한 견과류의 특성을 유지하는 범위로 한정한다).

가. 추가적인 보존이나 안정(예: 적정한 열처리, 황처리, 소르빈산이나 소르빈산칼륨의 첨가)

나. 외관의 개선이나 유지(예: 식물성 기름이나 소량의 글루코스 시럽의 첨가)

 

 

(3) “삼투탈수” 방법(관세율표 해설서를 근거로 함) 및 동 방법으로 저장처리한 과실이 분 류되는류(Chapter) : 20류(2008)

 

[제8류 해설서]

이 류의 과실과 견과류는 원래 상태의 것·얇게 썬 것·잘게 썬 것·채를 썬 것·씨를 제거한 것·펄프상태의 것·부스러진 것·껍데기나 껍질을 벗긴 것일 수 있다.

균질화 그 자체만으로는 이 류의 물품이 제20류의 조제품으로 분류하는데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소량의 설탕을 첨가하는 것은 이 류의 과실로 분류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류에는 또한 건조과실(예: 대추 야자·프룬)이 포함되며, 과실 자체의 천연당을 삼출(滲出)건조하여 마치 제2006호에 분류하는 설탕절임 과실과 약간 유사한 외관을 갖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 류에는 삼투 탈수방식으로 보존처리한 과실은 분류하지 않는다. "삼투 탈수(osmotic dehydration)"란 과실조각을 장시간 농축설탕 시럽에 담가 과실의 수분과 자연당(糖) 대부분을 시럽의 설탕으로 대체하는 방식을 말한다. 삼투 탈수 후 수분 함량을 더 줄이기 위해 열풍 건조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실은 제20류에 분류한다(제2008호).

 

 

 

3. 관세율표 제10부에 분류되는 펄프와 종이 및 인쇄물과 관련하여 다음 내용을 기술하시 오. (10 점)

 

(1) 제47류의 분류체계(호의 용어를 근거로 함)

 

4701

기계목재펄프

4702

화학목재펄프(용해용으로 한정한다)

4703

화학목재펄프(소다펄프나 황산펄프로 한정하며, 용해용은 제외한다)

4704

화학목재펄프(아황산펄프로 한정하며, 용해용은 제외한다)

4705

기계펄프공정과 화학펄프공정을 결합하여 얻은 목재펄프

4706

회수한 종이나 판지[웨이스트(waste)와 스크랩(scrap)]에서 뽑아낸 섬유펄프나 그 밖의 섬유질 셀룰로오스재료의 펄프

4707

회수한 종이나 판지[웨이스트(waste)와 스크랩(scrap)]

 

 

(2) 제48류의 물품과 제49류의 인쇄물의 차이점(제48류 주 제12호 내용을 근거로 함)

 

제48류 주12.

제4814호와 제4821호에 해당하는 물품을 제외하고는 종이·판지·셀룰로오스워딩과 이들의 제품으로서 해당 물품의 본래의 용도에 단지 부수적이지 않은 모티프(motif)·문자·회화를 인쇄한 것은 제49류에 해당한다.

 

 

(3) 제49류의 주 제2호에서 규정한 “인쇄된 것”에 대한 내용

 

제49류 주2.

제49류에서 "인쇄된 것"에는 복사기로 재생한 것, 자동자료처리기계로 한 것, 압형인쇄·사진촬영·사진복사·열전도복사·타자기로 친 것이 포함된다.

[해설서]

이 류에 있어서 "인쇄한 것(printed)"이란 보통의 수공식(예: 원판을 제외한 각판이나 목판인쇄)이나 기계식[예: 활자인쇄·오프셋(offset)인쇄·석판인쇄·사진요판인쇄 등]에 의하여 복사된 것뿐만 아니라 복사기에 의한 복사, 자동자료처리 기계에 의한 것, 부조모양의 인쇄, 사진인쇄, 사진 복사, 타이프라이팅(typewriting)(이 류의 주 제2호 참조)에 의한 것도 포함하며 인쇄한 문자의 형태[예: 여러 가지의 알파벳(alphabet) 문자, 숫자, 속기부호, 모스(morse) 부호나 그 밖의 부호, 점자, 음악부호, 그림과 도표]는 상관없다. 그러나 이 "인쇄한 것(printed)"이란 말에는 채색·장식적 인쇄·반복적인 도안 인쇄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 류에는 육필이나 타이프(type)로 친 문구의 카본(carbon) 복사와 손으로 제작한 유사 물품(손으로 그린 지도와 설계도를 포함한다)도 포함한다.

 

이 류에 분류하는 물품은 일반적으로 종이 위에 인쇄하여야 하나 이 총설의 첫 단락에 규정하고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물품의 경우에는 종이 이외의 그 밖의 재료에 인쇄한 것도 이 류에 분류한다. 다만, 상점 간판과 상점 윈도우에 사용하는 도자제, 유리·비금속(卑金屬)으로 된 문자, 숫자, 사인판과 이와 유사한 모티브(motif)로 인쇄한 서화나 문구를 가지고 있는 것은 각각 제6914호, 제7020호와 제8310호에 분류하거나 조명용의 경우는 제9405호에 분류한다.

 

보통의 인쇄제품[예: 서적·신문·팸플릿(pamphlet)·그림과 광고물] 이외에 이 류에는 인쇄한 전사지[데칼코마니(decalcomania)], 인쇄나 그림 설명이 있는 엽서, 연하장; 캘린더(calendars), 지도, 설계도와 도안; 우표, 수입인지와 유사한 스탬프(stamp) 등의 물품도 분류한다.

 

이 류에 해당하는 물품 중, 불투명체를 기본 재료로 한 축소복사물(microcopies)은 제4911호에 분류한다. 이러한 축소복사물은 사진판 인쇄물의 크기를 극도로 줄여서 복사하는 광학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며; 축소복사물은 일반적으로 확대장치로 보도록 되어 있다.

 

 

 

 

4. 관세율표 제61류의 주(Notes)와 제62류 주(Notes)의 대부분 내용은 일치하지만, 제61류 또는 제62류에만 규정된 다음의 내용을 기술하시오. (10 점)

 

(1) 제61류의 주 제1호

 

1. 이 류는 메리야스 편물이나 뜨개질 편물의 제품에만 적용한다.

 

 

(2) 제61류의 주 제2호 가목

 

2. 이 류에서 다음 각 목의 것은 제외한다.

가. 제6212호의 물품

 

 

(3) 제61류의 주 제4호

 

4. 제6105호와 제6106호에는 허리 아랫부분에 주머니가 있는 의류, 의류 밑 부분에 골이 진 허릿단이나 그 밖의 조이는 부분이 있는 의류, 적어도 10센티미터 × 10센티미터 범위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각각 바늘코(stitch) 수가 1센티미터당 평균 10개 미만인 의류는 제외하며, 제6105호에는 소매가 없는 의류를 포함하지 않는다.

 

(4) 제61류의 주 제5호

 

5. 제6109호에는 의류 밑 부분에 조임끈(drawstring)·골이 진 허릿단이나 그 밖의 조이는 부분이 있는 의류를 포함하지 않는다.

 

 

(5) 제62류의 주 제1호

 

1. 이 류는 방직용 섬유의 직물[워딩(wadding)은 제외한다]로서 제품으로 된 것에 적용하며, 메리야스 편물이나 뜨개질 편물의 제품(제6212호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은 제외한다.

 

 

(6) 제62류의 주 제7호

 

7. 정사각형이나 거의 정사각형인 스카프와 이와 유사한 물품 중 각 변의 길이가 60센티미터 이하인 것은 손수건(제6213호)으로 분류하며, 어느 한 변의 길이가 60센티미터를 초과하는 것은 제6214호로 분류한다.

 

 

 

 

5. 다음은 관세율표 제16부의 주 제2호의 내용 중 일부이다. (1)부터 (5)까지에 해당하는 호와 그 호의 내용을 함께 기술하시오. (10 점)

 

제16 부의 주 제2호:

“기계의 부분품 [(1), (2), (3), (4), (5)의 물품의 부분품은 제외한다]은 이 부의 주 제1호, 제84류의 제1호, 제85류의 제1호에 규정한 것 외에는 다음 각목에서 정하는 … (이하 생략)”

 

16부 주 2.

기계의 부분품(제8484호·제8544호·제8545호·제8546호·제8547호의 물품의 부분품은 제외한다)은 이 부의 주 제1호, 제84류의 주 제1호, 제85류의 주 제1호에 규정한 것 외에는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분류한다.

 

가. 제84류나 제85류 중 어느 특정한 호(제8409호·제8431호·제8448호·제8466호·제8473호·제8487호·제8503호·제8522호·제8529호·제8538호·제8548호는 제외한다)에 포함되는 물품인 부분품은 각각 해당 호로 분류한다.

 

나. 그 밖의 부분품으로서 특정한 기계나 동일한 호로 분류되는 여러 종류의 기계(제8479호나 제8543호의 기계를 포함한다)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부분품은 그 기계가 속하는 호나 경우에 따라 제8409호·제8431호·제8448호·제8466호·제8473호·제8503호·제8522호·제8529호·제8538호로 분류한다. 다만, 주로 제8517호와 제8525호부터 제8528호까지의 물품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분품은 제8517호로 분류한다.

 

다. 그 밖의 각종 부분품은 경우에 따라 제8409호·제8431호·제8448호·제8466호·제8473호·제8503호·제8522호·제8529호·제8538호로 분류하거나 위의 호로 분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8487호나 제8548호로 분류한다.

 

8484

개스킷(gasket)과 이와 유사한 조인트(금속 외의 재료와 결합한 금속판으로 만든 것이나 금속을 두 개 이상 적층한 것으로 한정한다), 재질이 다른 것을 세트로 하거나 소포장한 개스킷(gasket)과 이와 유사한 조인트(작은 주머니와 봉투에 넣은 것이나 이와 유사한 포장을 한 것으로 한정한다), 메커니컬 실(mechanical seal)

8544

절연(에나멜 도포나 산화피막처리를 한 것을 포함한다) 전선·케이블(동축케이블을 포함한다)과 그 밖의 전기절연도체(이것은 접속자가 부착된 것인지에 상관없다), 광섬유 케이블(섬유를 개별 피복하여 만든 것으로 한정하며, 전기도체나 접속자가 부착된 것인지에 상관없다)

8545

탄소전극·탄소브러시·램프용 탄소·전지용 탄소와 그 밖의 흑연이나 탄소제품(전기용으로 한정하며, 금속이 함유된 것인지에 상관없다)

8546

애자(어떤 재료라도 가능하다)

8547

전기기기용으로서 전부가 절연재료로 구성된 절연용 물품(나선가공 소켓과 같이 단순히 조립을 위하여 주조 과정에서 소량의 금속이 주입된 것을 포함하며, 제8546호의 애자는 제외한다), 비금속(卑金屬)으로 만든 전기용 도관(導管)과 그 연결구류(절연재료로 속을 댄 것으로 한정한다)

 

 

 

 

6. 관세율표 제90류의 주 제6호에서 규정한 제9021호의 정형외과용 기기에 대하여 기술 하시오.(10 점)

 

제90류 주6.

제9021호에서 "정형외과용 기기"란 다음 각 목의 기기를 말한다. 이 경우 정형외과용 기기에는 정형외과 교정 목적으로 1) 주문 제작되거나 2) 대량생산된 신발과 특수 안창을 포함한다(양발에 맞게 제작된 켤레가 아닌 한 족이어야 한다).

가. 신체상의 장애를 예방하거나 교정하는 기기

나. 질병, 수술이나 부상 후 신체의 일부를 지지 또는 고정하는 기기

[호해설]

 

(Ⅰ) 정형외과용 기기(orthopaedic appliances)

정형외과용 기기는 이 류의 주 제6호에서 규정하고 있다.

- 이들은 신체의 기형을 예방하거나 교정하거나 ;

- 질병 중이나 수술이나 부상 후에 신체의 일부를 지주하는 기구

 

이들 물품은 다음을 포함한다.

 

(1) 둔부질환기구[고관절병(股關節病 : coxalgia) 등]

(2) 상박골부목(절제후의 팔에 사용한다)(신장용 스플린트)

(3) 턱뼈용 기구

(4) 손가락의 견인장치 등

(5) 포트병(Pott's disease) 치료기구(머리 및 척추를 바로 세운다)

(6) 정형외과용 기기에는 정형외과 교정 목적으로 (1) 주문제작 되거나 (2) 대량생산된 신발이나 특수 안창을 포함한다(다만, 양발에 맞게 제작된 켤레가 아닌 한족이어야 한다).

(7) 이빨(齒)의 기형교정용 기구(치과용)(치열교정기·링 등)

(8) 발의 교정용구[기형족(talipes)용 기기·발 받침대[발용 스프링(spring)제 지지구(支持具 : support)를 갖춘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한다]·외과용 장화 등]

(9) 탈장대(서혜부·정강이·배꼽용 등의 탈장대)와 파열창용 기구

(10) 척추의 측곡과 만곡의 교정용기구·의료용이나 외과용의 코르셋과 벨트[지지용(支持用 : supporting) 벨트를 포함한다]로서 다음의 특성을 가진 것

(a) 환부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특수 패드·스프링 등

(b) 가죽·금속·플라스틱 등을 사용하여 만든 것; 이나

(c) 보강된 부분·직물류로 만든 견고한 부분·다양한 폭의 밴드

이러한 물품은 특정의 정형외과상의 목적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보통의 코르셋과 벨트(후자가 지대용이나 보대용에 사용하였는지에 상관없다)와 구별한다.

(11) 정형외과용 서스펜더(suspender)[메리야스 편물(net)이나 뜨개질 편물 재료 등으로 만든 간단한 서스펜더를 제외한다]

 

이 그룹에는 목발(crutches·cruch-sticks)도 포함한다(보통의 지팡이는 장애인용으로 특별히 만들어졌다 할지라도 제외한다는 것을 유의하여 한다)(제6602호).

 

이 그룹에는 추가적으로 "보행자-롤레이터(walker-rollator)"라고 알려진 보행보조기를 포함하는데, 보행자들이 밀면서 그들을 지지(支持)해주도록 해주는 것이다.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세 개나 네 개의 바퀴[이들 중 일부나 전부는 선회(旋回)가 가능할 수 있다] 위에 놓인 관(管) 형태의 금속 프레임(frame), 핸들과 핸드브레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보행자-롤레이터(walker-rollator)"는 높이가 조정 가능하거나 핸들 사이에 의자를 갖추거나 휴대물품 운반용 철사 바구니를 갖추고 있을 수도 있다. 의자는 사용자가 필요할 때 짧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호에는 다음의 물품을 포함하지 않는다.

 

(a) 정맥암(varicose veins) 치료용의 스타킹(제6115호)

(b) 간단한 보호구나 장치로서 다리의 어느 부분의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만든 것(이들이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은 제3926호, 거즈에 반창고를 부착시킨 셀룰러(cellular) 고무로 만든 것은 제4014호로 분류한다)

(c) 지지용(支持用) 벨트나 그 밖의 지지용(支持用)의 제품으로서 이 류의 주 제1호나목의 종류의 것(일반적으로 제6212호나 제6307호)

(d) 대량생산된 신발의 안쪽 바닥(inner soles)으로서 편평족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단순히 아치형으로 한 것(제64류)

 

또한 이 그룹에는 동물의 정형외과용 기기도 분류한다. 예를 들면, 탈장대(脫腸帶)[탈장 트러스(hernia truss)나 탈장 스트랩(hernia strap)]; 다리나·발의 고정용 기구; 동물의 물어뜯는 버릇을 방지하는 특수한 대(straps)와 관(tubes) 등; 탈출대(prolapsus bands)(직장·자궁 등의 기관유지용)·뿔 지지구 등. 다만, 보통의 안장과 마구의 성질을 가진 보호용 기구[예: 마(馬)용 정강이 패드]는 이 호에서 제외한다(제4201호).

 

 

(Ⅱ) 골절 치료용 부목(spilnt)과 그 밖의 골절 치료구

 

골절 치료구(fracture appliances)는 신체의 상처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거나(연결붙이기나 보호하기 위해), 골절부분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들은 또한 탈구나 기타 관절의 상처를 치료하는 곳에도 사용한다.

 

이러한 품목 중 일부는 환자에 직접 부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예: 선·아연제·목제의 (下肢)용 부목·석고붕대부목·늑골의 골절치료구 등], 또 다른 일부는 침대·테이블이나 다른 지지기구에 고정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부목(splints or cradles) 등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보호용 침대부목, 튜브제의 골절신장기 등]. 다만, 후자의 기구가 침대·테이블이나 다른 지지기구의 일부를 구성하여 분리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 호에서 제외한다.

 

이 류의 주 제1호 바목의 규정에 따라서 또한 이 호에는 판·못 등으로서 골절된 두 부분의 접합이나 이와 유사한 치료를 하기 위하여 외과의가 인체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것도 포함한다.

 

 

(Ⅲ) 의지·의안·의치나 그 밖의 인조 인체 부분

 

인체의 결함부분의 일부나 전부를 보완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외견상 닮은 것이다. 여기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A) 의안(義眼)용품

 

(1) 의안(義眼 : artificial eyes)·

보통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만들며, 눈의 각 부분(공막·홍채·동공)의 형과 색을 유사하게 하기 위하여 소량을 금속산화물을 첨가시켜 만든다. 단벽의 것과 복벽의 것이 있다.

 

(2) 내안렌즈(intra-ocular lenses)

마네킹 인형(tailors' dummies)·모피제 목도리 따위 등의 의안(義眼)은 제외한다(일반적으로 제3926호나 제7018호에 분류한다); 인형이나 완구용 동물의 의안(義眼)은 제9503호와 제7018호(유리제인 경우)에 분류한다.

 

 

(B) 의치와 의아용품, 예:

 

(1) 고정의치(solid artificial teeth) :

보통 자기나 플라스틱(특히 아크릴 수지)으로 만든다. 일반적으로 고정제를 침투시키기 위한 다수의 소공을 가진 "유공도치(diatoric)"(보통 어금니용)·두 개의 금속 핀으로 고정시키는 것(보통 앞니와 송곳용)이나 덴탈 플레이트(dental plate) 위에 고정된 금속제의 치능선(ridge) 위로 슬라이딩하는 치구를 가진 것(일반적으로 앞니와 송곳니용)이 있다.

 

(2) 중공(中空 : hollow)의치 :

고정의치의 경우와 같이 자기나 플라스틱으로 만들며, 앞니·송곳니·어금니의 외형을 갖추고 있다.

이상의 어느 것이나 고정의 방법에 따라 "유정도치(pivot teeth)"[조정된 치근에 매립시킨 금속으로 만든 작은 핀이나 피벗에 부착한다]나 "치관(crowns)"(먼저 형의 치근에 합성수지로 부착시킨다)으로 불린다.

 

(3) 의치열(義齒列 : denture) :

전치의 것과 부분치의 것이 있으며, 충치상(上)에 가황(加黃)고무판·플라스틱판·금속판에 의치를 부착시킨 것이다.

 

(4) 그 밖의 것 :

예를 들면, 실제의 보호용 금속제관(금·스테인리스강 등); 의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캐스트 틴 바(cast tin bar)["추봉(heavy bars)"]; 가황(加黃 : vulcanised) 고무제 의치판 강화용의 스테인리스강 바(stainless steel bar); 그 밖의 여러 가지의 물품으로 명백히 금속제의 치관이나 의치제조용의 부속품으로 인정되는 것[소켓(socket)·링·피벗(pivot)·훅(hook)·아일릿(eyelet) 등]

치과용 시멘트(dental cements)와 그 밖의 치과용 충전제(fillings)는 제3006호; "치과용 왁스(dental wax)"나 "치과용 인상재료(dental impression compounds)"와 같은 조제품(세트의 것, 소매용 포장의 것, 판상·말굽 모양·막대(stick) 모양·이와 유사한 것으로 한정한다)과 플라스터(plaster)[소석고(燒石膏)이나 황산칼슘제의 것]을 기본재료로 한 그 밖의 치과용 조제품은 제3407호에 분류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C) 그 밖의 인조의 인체부분,

 

예: 팔·전박·다리·발·코·인조접합부(예: 엉덩이·무릎용)·혈관과 심장변 대체용 합성 직물제의 튜브

이 호에는 살균용기에 넣어진 이식용의 뼈나 피부(제3001호)와 뼈 재생용 시멘트(제3006호)는 제외한다.

 

 

(Ⅳ) 보청기(hearing aids)

 

보청기는 일반적으로 한 개나 그 이상의 마이크로폰(증폭기를 갖춘 것인지에 상관없다)·리시버·전지가 들어있는 회로로 구성된 전기기기이다. 리시버는 귀의 속에나 귀의 배부에 끼도록 되어 있거나, 귀에 손으로 갖다 대도록 설계된 것도 있다.

 

이 그룹에는 난청을 극복하기 위한 기기에 한한다. 따라서 말을 쉽게 듣기 위하여 회의실에서 사용하거나 교환수가 사용하는 헤드폰·증폭기와 이와 유사한 물품은 제외한다.

 

 

(Ⅴ) 결함·장애를 보정하기 위하여 착용하거나 휴대하거나 인체에 삽입하는 그 밖의 기기

 

이 그룹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인공성대(speech-aids) :

부상이나 외과수술의 결과로 성대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이 이용하는 기기이다. 이 기기는 주로 전자 임펄스(impulse) 발생기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목에 눌러 붙여서 사용하는 경우, 목구멍 속에 진동을 일으켜 사용자는 그 진동을 제3자가 들을 수 있는 말로 변조하는 것이다.

 

(2) 페이스메이커(pacemakers) :

불완전한 심근을 자극하는 기기이다. 이 기기의 크기와 중량은 대체로 회중시계의 것과 같은 정도이며, 환자가슴의 피부 밑에 이식해 넣는다. 이러한 것은 전지를 자장하고 있으며 전극에 의하여 심장에 접속되어서 심장의 정상 박동 기능에 필요한 자극을 준다. 그 밖의 페이스메이커의 형의 것으로서 그 밖의 기관(예: 폐·직장·방광)을 자극하는데 사용하는 것도 있다.

 

(3) 시각장애우용 전자식 보조기 :

이것은 주로 전지에 의하여 작동되는 초음파송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다. 초음파의 빔(beam)이 장해물에 부딪쳐 반사해서 되돌아 올 때까지의 시간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의 변화는 적당한 기구(예: internal ear-piece)를 통하여 그 사용자로 하여금 장해물을 발견하게 하고 또한 장해물과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4) 인체에 삽입하는 기기 :

특정기관의 화학적 기능(예: 인슐린의 분비)을 지지(支持 : support)하거나 대체하는데 사용한다.